전체 글 17

네트워크 엔지니어 6개월 회고

안녕하세요. 제가 네트워크 엔지니어로 일한 지 6개월이 지나감에 따라, 25년 상반기를 회고해보고자 합니다. 1~2월, 입사 및 교육1월 6일, 엔지니어로써의 첫 커리어를 시작할 회사로 출근했습니다. 네트워크 업계에서 굳건한 1위 자리를 지키는 Cisco 사의 골드파트너 사에서 온프레미스 네트워킹 경험을 쌓고자 지원했습니다. 규모도 어느 정도 있고, 프로젝트 수행 실적도 탄탄한 회사라 엔지니어로써 좋은 밑거름이 되겠다 판단했었습니다. 약 7주 동안 엔지니어 실무 기초 교육을 받고 일주일 간 각 부서에서 인턴사원으로 근무하는 2개월의 인턴과정을 거친 후 정규직으로 전환되었습니다.17명의 신입사원 동기 중 엔지니어는 7명인데, 저를 제외한 모두 6개월 간 국비 지원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었습니다. 명령어..

회고 2025.06.13

Spanning-Tree Protocol와 Path Cost Type(short & long)

안녕하세요.최근 고객사의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하면서 STP Path-Cost type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LAN의 근본 기술이라 할 수 있는 Spanning-tree protocol의 Path Cost Typ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메인 주제는 STP의 Path Cost Type이므로 STP 자체에 대해서는 간단히만 알아보겠습니다. Spanning-Tree Protocol (STP) 이란?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라면 Spanning-Tree Protocol, 약자로 STP라 불리는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익히 들어보셨을 겁니다.흔히 학부 자료구조 혹은 알고리즘 수업에서 배우는 신장 트리 알고리즘의 적용 사례입니다. 원래 스패닝 트리는 그래프 상에서 모든 노드가 사이클 없이 연결된 부분 그래프..

Network/L2 2025.05.31

CCNP ENASRI(300-410) - VRF

안녕하세요.저번 글에 이어 Cisco press의 CCNP ENASRI(300-410) VRF 파트를 공부하며 정리해 보았습니다. Virtual Routing and Forwarding(VRF)과 Virtual LAN(VLAN)Virtual Routing and Forwarding, 줄여서 VRF라 부르는 기술은 쉽게 말해 라우팅 테이블을 분리하는 기술입니다.L3 기술인 VRF 이전에 L2 에서도 논리적으로 LAN을 분리하는 기술인 VLAN 이 있었습니다.VLAN과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위 그림처럼 카페에서 여러 사람들이 대화를 하고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카페라는 공간을 여러명이서 나누어 사용하니 서로의 대화가 들립니다. 하지만 나한테 하는말이 아니고 자기들끼..

Network/L3 2025.05.25

CCNP ENASRI(300-410) - MPLS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CCNP ENASRI 트랙의 MPLS 파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자격증 공부와 더불어, 최근 진행하게 된 사업에 IP-MPLS 장비가 도입되어서 고객의 환경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MPLS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들어가며최근에는 취업을 준비할 때 취득한 CCNA 자격증의 상위 단계인 CCNP 자격증 취득을 위해 공부 중입니다.Cisco 사의 Professional 자격증인 CCNP는 여러 분야로 나뉩니다. ISP 네트워크의 운영을 위한 SP 트랙,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운영을 위한 DC트랙, 무선 네트워크 운영을 위한 Wireless 트랙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저는 현재 공공사업부에 소속되어 주로 군부대, 혹은 철도(지하철, 고속철 등) 네트워크를 구축 및 유지보수 하는 ..

Network/L3 2025.05.16

Load Balancer 종류 소개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이번 글에서는 로드 밸런서와 그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oad Balancing, 한글로 부하 분산이라 부르는 이것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쉽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트래픽을 수신해 여러 서버로 요청을 대신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컴퓨터 네트워크 기초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 다양한 로드 밸런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SI 7 Layer, TCP/IP 모델과 네트워크 통신OSI 7 Layer와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모델입니다. 이 두 모델은 모두 네트워크 통신에 대해 설명하지만, OSI 7 Layer는 이론적인 내용을 다룰 때 많이 사용됩니다. 실제 네트워크 모델은 대부분 ..

Network/L4 2025.05.01

Bandwidth와 Throughput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취업준비와 취업, 수습기간동안을 거치며 블로그 작성에 소홀했는데, 다시금 지식을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고자 합니다. 이번 글의 주제는 네트워크의 Bandwidth와 Throughput 이해하기 입니다. Bandwidth(대역폭) 과 Throughput(처리량)Bandwidth(대역폭) :대역폭(帶域幅, bandwidth)은 컴퓨팅에서 일반적으로 초당 여러 비트로 표현되는, 사용 가능하거나 소비된 정보 용적의 비트레이트이다.Throughput(처리량) : 스루풋(throughput) 또는 처리율(處理率)은 통신에서 네트워크 상의 어떤 노드나 터미널로부터 또 다른 터미널로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디지털 데이터 전송으로 처리하는 양을 말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링크에서는 스루풋 ..

Network 2025.02.23

TCP 통신에서의 플래그 해석 및 VPC Flow Logs 관련 문제 분석 (Level 200)

안녕하세요.이번 글에서는 TCP 통신에서의 플래그 해석 및 VPC Flow Logs 관련 문제 분석에 대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해결해야 할 문제는 아래와 같습니다.고객은 AWS 환경에서 VPC Flow Logs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중에,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TCP 플래그가 0으로 기록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고객은 RFC 3168에 따른 ECE(ECN-Echo) 플래그와 관련된 내용을 확인하고, TCP 플래그 값이 0으로 찍히는 상황에서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문의했다.고객의 로그 분석 요청 사항:- TCP 플래그 값이 0으로 설정된 상황에서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 TCP 플래그 0 상태에서 발생할..

Amazon Web Services 2024.11.02

AWS 3-Tier Architecture 실전 사례 - 1

안녕하세요. 저는 AWS 3-Tier Architecuture를 실전 사례를 들어 구축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3-Tier Architecture 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3-Tier Architecture흔히 3계층 구조라고도 부르는 3-Tier Architecture는 상황에 따라 의미가 조금 다릅니다.OSI 7 Layer 의 상위 계층(L5~L7)의 관점으로 보느냐, 하위 계층(L1~L4)의 관점으로 보느냐에 따라 지칭하는 바가 다릅니다.그럼, 각 계층은 어떻게 3-Tier 아키텍쳐를 나타낼까요? 하위 계층(L1~L4)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물리 계층을 통틀어 부르는 하위 계층에서 말하는 3-Tier 주로 데이터센터의 네트워크 구조를 일컫습니다. L2와 L3에서 ..

Amazon Web Services 2024.10.24

Cisco Certificate Network Associate(CCNA) 취득 후기

안녕하세요.이번 글에서는 국제 공인 자격증인 Cisco Certificate Networok Associate(CCNA) 자격증 취득 후기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글에 들어가기 전에, IT 라이센스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얘기하자면 저는 꽤나 회의적인 편입니다.IT 업계에서 자격증은 있으면 좋고, 없어도 그만이라고들 합니다. 요즘은 자격증이나 졸업장같은 종이가 아닌 능력으로 인정받는 세상이니까요. 그런데도 왜 저를 비롯해 사람들은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할까요?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시간 절약과 실력 향상, 두 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자격증을 공부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력서를 쓰고,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자신을 표현할겁니다.이때 CCNA 자격증이 있으면 면접관은 아마도 "아, 이 ..

Certification 2024.10.19

Telnet Over SSL/TLS 과 SSH

안녕하세요.얼마 전에 공부하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는 잘 알려진 포트 중에서 몇 개나 알고 있을까?" 그래서 위키백과의 TCP/UDP 포트번호 문서를 찾아보다가, 992번 포트를 발견했습니다. 이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Telnet Over SSL/TLS, 즉 SSL/TLS 위에서 동작하는 Telnet 프로토콜이었습니다.제가 알기론 Telnet은 과거에 원격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고, 통신 간 평문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암호화를 제공하는 SSH 프로토콜을 사용해 원격 접속한다고 알고 있었지요.  그런데 "SSL/TLS 위에서 동작하는 Telnet이라니, 그럼 SSH 랑 다른 게 뭐지?"라는 생각이 들었고 이를 데모로 구현하며 공..

Network/L7 2024.09.12